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교육과정

교과목해설

사회복지학과는..?

학부를 마치고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사회복지 관련 연구기관으로 진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제도와 전문적 기술 개발을 위해 일하게 된다. 혹은 도서관이나 연구실이 아닌 현장에 종사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을 이해하고, 돕는 일을 할 수도 있다. 보통 사회복지와 관련된 현장으로는 지역사회복지관을 포함 각종 직접 서비스 기관에서 주민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 사회복지개론(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교육목표 본 과목은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과 가치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이해시키는 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 사회복지의 실천적 · 제도적 가치와 이념
    - 사회복지의 역사적 발달,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
    -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쟁점과 전망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 교육목표 본 과목은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실천의 기초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행동 및 인간 발달, 사회환경체계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해 주는 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인간 발달과 성격의 이해, 사회체계의 개념과 특성
    - 정신분석이론, 분석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 생태학적 이론, 인간관과 과정, 일반체계이론의 개념과 발달관점

  •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Social Welfare)

    • 교육목표 본 과목은 지역사회를 개입의 단위로 삼는 사회복지의 다양한 접근법들을 섭렵하되, 특히 전문적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에 대한 이론과 기술의 학습에 역점을 둔다. 따라서 지역사회 및 그 구성원들이 지니는 사회적 문제와 욕구의 해결역량을 함양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실천가로서의 전문성을 증진하는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개념 및 다양한 지역사회문제의 이해
    - 전문적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 모델, 과정, 기술
    - 사회복지사의 역할 등 전문적 접근에 필요한 핵심사항

  • 사회복지실천론(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 교육목표: 본 과목은 급격한 사회변화와 함께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전문직의 개입을 필요로 하는 모든 현장에서 전문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직·간접적으로 만나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사
    - 사회복지실천 서비스 전달 과정
    -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및 사회복지실천의 모델

  • 아동복지론(Child Welfare)

    • 교육목표 본 과목은 아동복지와 관련된 이론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의 욕구와 문제를 자원의 동원과 조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아동복지분야에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하는 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아동복지의 특성과 부모의 역할, 개념과 가치, 아동복지의 역사
    - 아동의 욕구와 문제, 정책과 제도, 실천대상과 관련서비스
    - 아동복지 실천방법과 기술 습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