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를 마치고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사회복지 관련 연구기관으로 진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제도와 전문적 기술 개발을 위해 일하게 된다. 혹은 도서관이나 연구실이 아닌 현장에 종사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을 이해하고, 돕는 일을 할 수도 있다. 보통 사회복지와 관련된 현장으로는 지역사회복지관을 포함 각종 직접 서비스 기관에서 주민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 교육목표
본 과목은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과 가치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이해시키는 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 사회복지의 실천적 · 제도적 가치와 이념
- 사회복지의 역사적 발달,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
-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쟁점과 전망
• 교육목표
본 과목은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실천의 기초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행동 및 인간 발달, 사회환경체계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해 주는 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인간 발달과 성격의 이해, 사회체계의 개념과 특성
- 정신분석이론, 분석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 생태학적 이론, 인간관과 과정, 일반체계이론의 개념과 발달관점
• 교육목표
본 과목은 지역사회를 개입의 단위로 삼는 사회복지의 다양한 접근법들을 섭렵하되, 특히 전문적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에 대한 이론과 기술의 학습에 역점을 둔다. 따라서 지역사회 및 그 구성원들이 지니는 사회적 문제와 욕구의 해결역량을 함양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실천가로서의 전문성을 증진하는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개념 및 다양한 지역사회문제의 이해
- 전문적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 모델, 과정, 기술
- 사회복지사의 역할 등 전문적 접근에 필요한 핵심사항
• 교육목표:
본 과목은 급격한 사회변화와 함께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전문직의 개입을 필요로 하는 모든 현장에서 전문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직·간접적으로 만나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사
- 사회복지실천 서비스 전달 과정
-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및 사회복지실천의 모델
• 교육목표
본 과목은 아동복지와 관련된 이론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의 욕구와 문제를 자원의 동원과 조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아동복지분야에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하는 데 주요 목표를 둔다.
• 교육내용
- 아동복지의 특성과 부모의 역할, 개념과 가치, 아동복지의 역사
- 아동의 욕구와 문제, 정책과 제도, 실천대상과 관련서비스
- 아동복지 실천방법과 기술 습득